수악길 원시림 속 감춰진 산정화구호 습지
수악길 원시림 속 감춰진 산정화구호 습지
2024. 10. 30 (수)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양정인
해발 600~800m 한라산 중턱 천연림 속을 통과하는 트레킹 코스이기에 탁 트인 경관을 보기는 어렵지만 화산 활동의 결과물인 오름과 굼부리, 계곡, 빌레, 화산탄, 궤와 같은 지형이 만들어낸 비경과 그 안에 담긴 장엄한 창조의 순간을 엿보게 된다.
* 분석구 : 뿜을 분(噴) 돌 석(石) 언덕 구(丘). 분석은 마그마가 폭발할 때 생겨난 용암 파편(화산쇄설물) 중 물에 가라앉는 돌(스코리아 scoria)이다. 제주에선 송이라고 부른다. 분석구(scoria cone)는 화산이 폭발하고 난 뒤 분석이 화구 주위에 엉켜서 화산체를 만든 화산이다.
오랜 가뭄으로 산정화구호 습지는 물이 말라있는 상태였지만, 비가 많이 올 때는 일시적으로 물이 고이는 습지 형태일 듯하다. 굼부리 바닥에는 제주에서 볼 수 있는 누운기장대풀과 솔이끼가 융단처럼 빽빽하게 깔려있고 곳곳에 뱀톱도 많이 자라고 있다.
그러나 습지가 육화되기 시작할 때 선구식물로 자리잡는 꽝꽝나무가 곳곳에 자리 잡은 모습도 보인다.
바람이 없는 날인데도 걷는 내내 바스락 바스락 무언가 계속 숲 바닥에 떨어진다. 가끔 종가시나무, 졸참나무 도토리 열매에 꿀밤을 맞으며 걷는다. 가을로 접어드는 숲길 바닥에는 떨어진 도토리 열매가 가득하다. 한라산이 자생지인 황칠나무의 낙엽도 반갑게 눈에 띈다.
화산활동을 설명할 때 오름과 굼부리, 송이 등 오래전부터 불러오던 이름은 쉽게 다가오지만 생경한 학술용어들은 얼른 이해하기가 어렵다. 당연히 이 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불러온 이름도 있을 테지만 그 이름들이 잊혀가는 게 아쉽다.
수악(水岳)이란 이름도 물오름이란 옛 이름을 한자어로 바꾸어 붙인 지명이다. 한라산 둘레길 이름을 수악길로 부르지만 ‘물오름길’이라 붙였으면 어땠을까? 다른 한라산 둘레길 이름이 숯모르길, 절물길, 사려니숲길, 돌오름길 같은 옛부터 부르던 이름을 사용했듯이 말이다.
내친김에 수악길에 감추어진 이름 없는 산정화구호 습지의 이름도 불러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오름의 형체가 사라져서 따로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다 해도, 그 오름의 분화구 흔적은 남아있고 그 장소에서만 볼 수 있는 동식물들이 살아가고 있으니 말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