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이미지
 교래리 봉천수 – 포리수 습지기자단 유명숙  봉천수는 하늘에서 떨어진 빗물이 한곳에 모여 물웅덩이나 못을 이룬 형태로 하천 등  음푹 파인 곳에 물을 가두어서 생활용수로 , 음용수로 , 농업용수로 사용하던 곳을 말한다 . 빗물이 근원인 봉천수는 가뭄에 취약하고 수질도 불량 할 수 밖에 없지만 마땅히 수원이 없는 중산간 지역이나 산촌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물이었다 . 1970 년 이전 제주인들의 삶에 있어 물은 특별했다 . 해안가에는 용천수가 비교적 풍부하게 솟아나서 물을 사용함에 있어 중산간지역보다 물 걱정은 덜 하고 살았지만 중산간 지역에서 물이 솟아나는 경우는 드물었기에 빗물을 가두어서  이용하는 방법으로 물을 얻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 제주도에 1960 년 첫 지하수 관정이 시작되었다 . 그 이전에는 봉천수에 의지하여 살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는데  포리수는 교래마을에 유일한 봉천수이며 , 주민들의 삶을 지탱해 준 고마운 물이다 . 물은 마을의 역사를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되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 물은 모두에게 공평하다고 하지만 중산간 지역의 주민들에게는 공평하게 다가오지는 않았다고 한다 .   비가 내리는 날에 포리수를 찾았다 . 포리수는 교래리 사거리에서 남조로길 남쪽으로 방향을 잡고 다리 ( 제 4 교래교 ) 를 지나면서  서쪽으로 ( 우측 ) 1 차선 농로를 따라 승용차로 3~5 분 정도 들어가면 팔각정이 있다 . 주차 할 수 있는 공간도 있고 , 새로 단장한 포리수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 포리수는 상수도가 공급되기 전에 마을 주민들이 생활용수 , 음용수 , 농업용수로 이용하던 곳으로 물의 색이 포 ( 아래오발음 ) 리롱 하다 해서 포리수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교래지역에서 비를 만나는 날이 많은 편인데 역시 굵은 빗줄기가 쉴 새 없이 들이 붓는다 . 내려가는 돌 계단이 미끄러워 보인다 . 여름 내내 자란 잡초와 줄기식물들이 우거져 있어 나뭇가지와 칡을 걷어낸다 . 포기할 수는 없고 차 안에서 한 참을 기다리다 가

함덕 스노클링 핫플 옆 제주 염습지

이미지
  글/ 사진 : 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이주형 ​ ​ 함덕 스노클링 핫플 옆 제주 염습지 ​ 바닷물이 드나들어 염분 변화가 큰 습지를 염습지라 한다. 섬나라인 제주의 해안가 주변에서는 그리 어렵지 않게 염습지를 만날 수 있는데, 이게 습지인 건지~ 아닌 건지~ 무심코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몇 년 전 스노클링 하러 다녔던 곳 바로 근처에 있던 곳도 염습지였다는 걸 뒤늦게 알게 되었으니 말이다. 지금은 동쪽 스노클링 핫플이 되면서 여름에는 발 디딜 틈 없는 곳이 되어 지금은 오히려 가지 않는 그곳 옆이 염습지였다니... 궁금해서 작년 겨울에 한번, 올여름에 2~3번 정도 일부러 찾아 나섰다. 유명해진 버거집과 요 몇 년 새로 생긴 건물사이에 있는 습지. ​ ———————————————— ​ 함덕 염습지 ​ 함덕 해수욕장 서쪽 모래해변 서쪽 지점에서 뭍으로 나가 커다랗게 물이 고인 곳으로, 가운데 넓고 큰 관을 만들어 바닷물이 들고나게 하였다. 염습지 가장자리에는 구멍갈파래 등 해초들이 있고, 물새들이 몇 마리 보인다. ​ ✅ 주소: 함덕리 3283-3번지(도로) 끝 지점의 서남쪽 공유수면 ✅ 마을에서의 위치 : 함덕 포구에서 해안 도로 따라 서쪽으로 500m ✅ 길이/ 폭/ 면적 : 길이 150m, 폭 90m, 면적 약 16.281㎡ ✅ 입구(소로) 유무 : 해안도로 변 * 내용 출처 : 람사르 습지도시 조천읍 습지 조사 자료집 ​ ​ ———————————————— ​ ​ ​ * 사진 촬영일 : 2022년 12월 9일 오후 2시경/ 2023년 7월 25일 오후 4시경/ 2023년 9월 19일 오전 8시경. 각각 다른 날 다녀왔던 사진들을 활용 ​ 바다와 습지 사이에는 해안 도로가 있고 멀리 서우봉이 보이는 위치 ​ ​ 그 사이에 넓고 큰 관 2개를 두어 바닷물이 들고나가니 조석(朝夕)으로, 밀물 썰물에 의해 물의 높이가 달라진다. 그러다 보니 일부 잠기는 곳이 생기는 곳 위주로 염생식물들이 자라고 있는 듯 보인다.(2022년 12월 / 2023년 7월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