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악길 원시림 속 감춰진 산정화구호 습지
수악길 원시림 속 감춰진 산정화구호 습지 2024. 10. 30 (수)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양정인 한라산 둘레길 수악길의 산정화구호 습지. 한라산 고지대 동남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한라산 둘레길을 걷다 보면 한라산이 생기고 제주 섬이 생겨나는 수천만 년 과정에서 흘러나온 많은 양의 용암류와 화산쇄설물이 남긴 다양한 흔적을 만난다 . 해발 600~800m 한라산 중턱 천연림 속을 통과하는 트레킹 코스이기에 탁 트인 경관을 보기는 어렵지만 화산 활동의 결과물인 오름과 굼부리 , 계곡 , 빌레 , 화산탄 , 궤와 같은 지형이 만들어낸 비경과 그 안에 담긴 장엄한 창조의 순간을 엿보게 된다 . 한라산 둘레길 수악길을 걷다가 산정화구호를 만났을 때 역시 깊은 인상을 받았다 . 안내판이 없었더라면 이곳이 물영아리나 물장오리의 산정화구호와 같은 습지라는 것을 몰랐을 것 같다 . 주변의 경사진 지형에 의해 굼부리 ( 분화구 ) 형태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감춰져 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원시림이 이어지다가 일부러 다져 놓은 듯 넓고 평평한 지형이 갑자기 드러났을 때, 신비롭고 아늑한 느낌이 들면서 예사롭지 않은 공간으로 다가왔다 . 수악길 산정화구호 습지의 환산체 형태는 대부분 사라지고 분화구 흔적만 남아있다. 안내판의 설명을 보면 이곳은 제주의 대부분의 오름들처럼 분석구로서 원래는 오름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 그 모습은 가까이에 있는 동수악과 같았을 것으로 추측한다 . 하지만 지금은 오름의 형태는 대부분 사라지고 분화구의 흔적만 남아있다 . 그 이유는 한라산 고지대에서 연속적으로 용암이 흘러나오면서 화산체의 대부분 메워졌기 때문이다 . * 분석구 : 뿜을 분 ( 噴 ) 돌 석 ( 石 ) 언덕 구 ( 丘 ). 분석은 마그마가 폭발할 때 생겨난 용암 파편 ( 화산쇄설물 ) 중 물에 가라앉는 돌 ( 스코리아 scoria) 이다 . 제주에선 송이라고 부른다. 분석구 (scoria cone)는 화산이 폭발하고 난 뒤 분석이 화구 주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