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수악길 원시림 속 감춰진 산정화구호 습지

이미지
  수악길 원시림 속 감춰진 산정화구호 습지 2024. 10. 30 (수)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양정인 한라산 둘레길 수악길의 산정화구호 습지. 한라산 고지대 동남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한라산 둘레길을 걷다 보면 한라산이 생기고 제주 섬이 생겨나는 수천만 년 과정에서 흘러나온 많은 양의 용암류와 화산쇄설물이 남긴 다양한 흔적을 만난다 . 해발 600~800m 한라산 중턱 천연림 속을 통과하는 트레킹 코스이기에 탁 트인 경관을 보기는 어렵지만 화산 활동의 결과물인 오름과 굼부리 , 계곡 , 빌레 , 화산탄 , 궤와 같은 지형이 만들어낸 비경과 그 안에 담긴 장엄한 창조의 순간을 엿보게 된다 . 한라산 둘레길 수악길을 걷다가 산정화구호를 만났을 때 역시 깊은 인상을 받았다 . 안내판이 없었더라면 이곳이 물영아리나 물장오리의 산정화구호와 같은 습지라는 것을 몰랐을 것 같다 . 주변의 경사진 지형에 의해 굼부리 ( 분화구 ) 형태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감춰져 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원시림이 이어지다가 일부러 다져 놓은 듯 넓고 평평한 지형이 갑자기 드러났을 때, 신비롭고 아늑한 느낌이 들면서 예사롭지 않은 공간으로 다가왔다 . 수악길 산정화구호 습지의 환산체 형태는 대부분 사라지고 분화구 흔적만 남아있다. 안내판의 설명을 보면 이곳은 제주의 대부분의 오름들처럼 분석구로서 원래는 오름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  그 모습은 가까이에 있는 동수악과 같았을 것으로 추측한다 . 하지만 지금은 오름의 형태는 대부분 사라지고 분화구의 흔적만 남아있다 .  그 이유는 한라산 고지대에서 연속적으로 용암이 흘러나오면서 화산체의 대부분 메워졌기 때문이다 .    * 분석구 : 뿜을 분 ( 噴 ) 돌 석 ( 石 ) 언덕 구 ( 丘 ). 분석은 마그마가 폭발할 때 생겨난 용암 파편 ( 화산쇄설물 ) 중 물에 가라앉는 돌 ( 스코리아 scoria) 이다 . 제주에선 송이라고 부른다. 분석구 (scoria cone)는 화산이 폭발하고 난 뒤 분석이 화구 주위에

수산리 습지 - 폭낭이 지키는 폭남못

이미지
  수산리 습지 폭낭이 지키는 폭남못 2024. 10. 25 (금) 글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오은주 사진_성산읍습지조사팀 성산읍 수산리 마을은 연못이나 습지를 통해서도 전형적인 중산간 마을의 특징을 보여준다 . 마을 곳곳마다 연못 ( 못 ) 이 있었고 , 습지도 여기저기 산재해 있었다 . 물에 따라 동식물의 생활과 주변 환경이 결정되며 , 자연적인 환경에 따라 물 주변으로 마을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 수산마을은 연못 및 습지 또는 작은 규모의 용천수 등 27 개가 있었다 .  지금은 성앞못 , 동치못 , 누루못 , 진빌레못 , 진안물 , 양백이물 , 통개나물 , 공쟁이물 , 맥다리물 등은 흔적을 찾아 볼 수 없다 . 폭남못은 폭낭못이라고도 하며 소와 말에게 물을 먹이기 위해 사용되는 못이었고 , 폭낭 ( 팽나무 ) 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궁대오름 사거리에서 지금은 제주자연생태공원으로 가는 길로 800m 정도 가다가 남쪽으로 500m 가다 보면 오른쪽에 있다 . 습지 가에 폭낭이 있는데 크기도 크지 않고 병충해를 입은 것처럼 위태하게 서 있다 . 길에서 바라 본 폭남못 사람들이 보이는 앞쪽으로 팽나무가 보인다. 위 사진은 2월의 습지 모습니다. 4 계절의 모습이 너무 변화무쌍한 연못이다 . 5 월이 되면 수련이 습지를 거의 뒤덮고 있다 . 작년보다 올해가 더 늘어나는 듯 해서 다른 습지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듯 하다 . 습지 식물의 다양성을 위해선 수련이 늘어나는 것에 걱정이 생긴다 . 2023 년 8 월에 습지들을 드론으로 찍어보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미쳤는데 , 습지조사에 힘을 실어주고 싶다는 분이 함께 해주시며 드론 촬영을 해주셨다 . 하늘에서 내려다 본 습지는 더 눈부셨다 .  폭남못은 넓은 초지 가운데의 우마용 습지였다는 것이 눈에 확실히 보여졌다 . 2023년 7월의 습지 모습 폭남못에는 보호종 식물이 있다 . 물꼬리풀과 둥근잎택사이다.   ● 둥근잎택사 (Caldesia parnassifolia (Bassi ex L.)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