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리 습지 - 가장 큰 못 수산한못, 전주물꼬리풀의 자생지 한못서못(통한못)

 수산리 습지

가장 큰 못_ 수산한못

전주물꼬풀의 자생지 _ 한못서못(통한못)


2024. 08. 30

글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오은주

사진 _성산읍습지조사팀


수산마을은 연못이나 습지를 통해서도 전형적인 중산간 마을의 특징을 보여준다. 마을 곳곳에 연못이 있었고, 습지도 많은 곳에 산재해 있었다. 기록되어 있는 연못과 습지는 용천수 포함 28개가 있었다. 지금은 성앞못, 동치못, 누루못, 진빌레못, 진안물, 양백이물, 통개나물, 공쟁이못, 맥다리물 등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수산마을의 설촌 유래를 살펴보면,

수산리는 首山, 水山 2가지로 쓰였다. 원래 [首山] 이었는데 마을이 커지면서 양촌(良村)으로서의 입지가 굳어지게 되자 [首]는 우두머리, 처음, 먼저, 머리 등의 의미가 있는 반면 꾸벅거리다, 魁首自白(괴수자백) 등의 의미도 갖고 있기 때문에 양반, 선비가 사는 마을 이름으로서는 적당하지 않다고 하여, 仁者樂山 知者樂水의 글자를 따서 [水山]으로 개명하였다(수산리지)고 한다.

17세기부터 수산리와 흘전촌으로 구분되었는데, 수산리[지금의 수산1리]의 옛 이름은 물미로, 믈미, 믈메[지금 대수산봉]라는 오름 북서쪽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생긴 이름이다. 1914년 종전의 성읍리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흘전촌[지금의 수산2리]의 옛 이름은 홀입, 홀앞, 곶앏, 곶앞, 화전(化前)촌으로, '덤불 숲의 앞'이라는 뜻이다. 현재의 실제 발음은 고잡(고잪)이다.

고려시대 수산평 일대에 말과 양 등을 방목하다는 기록에 비추어 본격적으로 사람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은 13세기 말~14세기 초로 추정한다. 수산1리는 600여년 전, 수산2리는 800여년 전에 설촌한 후 마을이 커졌다고 한다.(성산읍역사문화지 290쪽) 수산리지에서는 1,000년 전에 설촌되었다고 기술하였다.

수산리는 태종16년(1416) 정의현이 설치될 때 정의현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고종17년(1880) 정의현 좌면 수산리가 되었다. 1915년 5월 1일 도제(島制)가 시행되면서 제주도 정의현 수산1리, 수산2리가 되었으며, 1935년 성산면 수산리가 되었다. 1946년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면 수산1리, 수산2리가 되었고, 1980년 성산면이 성산읍으로 승격되어 성산읍 수산리가 되었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남제주군이 서귀포시에 통합되어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가 되었다.

인접한 마을로는 동쪽으로 고성리, 서쪽으로 성읍리, 남쪽으로 난산리와 온평리, 북쪽으로는 시흥리와 종달리가 있다.

수산벵듸(수산평)는 우리나라 최초의 목마장(1276년 탐라목장)이 시작된 벵듸이다. 파호이호이 용암이 흐른 땅(암반지대) 위에 초원이 생긴 것이다. 원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국가에 의한 목장설립과 운영이 시작되었다. 수산평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정의현 고적조에 水山坪在水山西南이라고 기록된 것과 남사록의 고지도에 의해 추정해보면, 대왕산~좌보미~궁대악~후곡악 일대에 발달한 완경사지로 비정된다. 이곳은 제주도 동부 평원지대에 해당된다.(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몽골이 수산벵듸에서 말을 키우기 시작한 것은 넓게 펼쳐진 초지와 함께 풍부한 습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마을공동목장이 있는 곳은 어김없이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지금도 '수산벵듸' 지역에는 하도, 수산, 상도, 성읍, 송당, 삼달공동목장 등이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 남동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거미오름과 좌보미오름 일대에서 대왕산, 앙기오름, 유건에오름으로 둘러싸인 넓은 지역이다. 수산벵듸의 지질은 표선리현무암용암, 성산수산곶자왈용암, 동거문오름 화산성암설사태층, 좌보미오름 화산성암설사태층으로 구분되며 동거문오름, 좌보미오름, 궁대악, 후곡악, 낭끼오름 등이 분포하고 있다.

표선리 현무암용암이 발달하는 남동부지역은 용암동굴과 용암습지 등이 발달하는 특징이 보이며 화산성 암설사태층이 분포하는 북동지역은 알오름 등이 많이 발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표선리현무암 용암지대는 대체적으로 평탄지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토양 발달이 덜 된 지역으로 농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임업 또는 목축업의 근간이 되는 초지가 발달하는 특징을 보인다. 평탄지형에는 용암이 유동특성을 반영하는 요철 지형이 나타나는데, 오목한 지형에 주로 용암 습지가 발달하고 있다. 또한 용암동굴이 발달하고 있으며 숨골을 많이 분포하고 있다. 북동지역의 알오름 지대는 크고 작은 암설구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제주 목장의 원지형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곳이다.

수산벵듸에서 발견한 습지의 대부분은 빌레용암지대 중에서도 오목하게 물이 고일 수 있는 지형에, 균열이 없는 곳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그 위에 오랜 기간 동안 퇴적층이 쌓이면서 습지식물이 들어오고 곤충, 양서파충류가 유입되고 포식자인 백로, 왜가리 등 조류가 날아오면서 습지생태계가 완성된 것이다.(제주도 습지 보전을 위한 길. 제주환경운동연합. 2018)

1. 수산 한못(수산리 3990번지)


2024년 1월의 모습

2023년 5월의 모습

2024년 7월의 모습
         

한못은 못이 크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고려 원종11년(1270)에 일어난 삼별초항쟁으로 탐라를 진입한 몽골은 탐라총관부를 설치하고 군마를 키울 목적으로 수산평에 탐라목장(동아막)을 설치했다. 위치는 동국여지승람에는 수산리 서남쪽이라 하였다.
성산읍역사문화지에 소개된 동아막 터는 동서로는 낭끼오름 동쪽에서 좌보미 서쪽까지 약 4.5, 남북으로는 뒤굽은이 남쪽에서 돌산 북쪽까지 약 2.5에 이르는 지역이다. 그 가운데쯤에 나지막한 궁대악(수산리 4711-8번지. 해발 238.8m, 비고 54m)이 있다.

수산1리 공동목장에는 급수장 역할을 했던 물통이 2군데 있었다. 폭낭못과 한못이 그곳인데 이곳은 빗물을 받아서 저장했다가 우마들에게 먹였다. 한동안 방치되었던 한못 또한 새롭게 정비되었다. 소와 말을 방목하던 1980년대까지만 해도 마을 집집마다 당번을 정하여 수산평 근처에서, 저녁에는 집으로 소나 말을 데려오는데, 이때 테우리들이 한낮에 곳곳에서 모여들어 하루에 두 번 정도 소나 말에게 물을 먹이던 곳이다.

연못을 크게 가운데 산책로로 지나면서 동서로 나누어지는데 동쪽 연못의 길가에는 과거에 테우리들이 먹었던 <곤물통>이 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2급인 전주물꼬리풀의 복원지이다.





전주물꼬리풀(Pogostemon yatabeanus (Makino) Press

전라북도 전주와 제주도에 분포기록이 있으나 전주지역은 야생개체군은 절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 1개소에 자생지가 관찰되고 있다.  모니터링 결과 2개소(통한못, 돌리미못)에서 개체를 발견하였으며, 수산 한못과 직꾸물(2023년 7월 복원)은 복원지이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종과 자생지에 대한 특별한 보호대책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위기(Endangered, EN)범주에 해당된다. (출처: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 한국의 희귀식물. 국립수목원. 2021년 12월)

여미지식물원, 상효식물원, 환경부에서 주축이 되어 200여본의 전주물꼬리풀을 2010년 7월경 근처 자생지(한못서못)에서 개체를 채집하여 근경을 증식하는 방법으로 연못 주변에 복원하였다.






둥근잎택사

물고랭이

황근

이곳에는 전주물꼬리풀 뿐만 아니라 둥근잎택사, 물고랭이 등 위기식물들의 서식처이기도 하다. 4계절의 모습이 다 다르고, 살고 있는 식물들도 계절과 기후에 따라 다 다르게 피어 난다. 작년에 많이 보였던 둥근잎택사가 안 보여서 가슴 졸였던 기억이 있다. 8월이 되어서 간신히 살아난 개체가 꽃을 피워냈다. 얼마나 반갑던지. 올해 5월초의 추위로 냉해를 입지 않았을까 추측해 보기도 했다. 
흰꽃물고추나물, 기장대풀, 물고추나물, 눈비녀골풀, 부처꽃, 택사, 개구리갓, 털개구리미나리, 미국가막사리 등 다 언급하기도 많은 식물들이 이곳에서 피고 지고, 다시 힘을 내어 살아가는 곳이다. 새들이 날아와 쉬어 간다. 작년에는 새들이 많이 보였는데 올해는 덜 보인다. 
많은 사람들의 방문이 새들의 휴식에는 방해가 되지 않았을까?

수산 한못은 성산읍에서도 가장 유명한 습지이다. 
저녁 석양이 질 때, 습지에 비친 한라산은 장관이다. 그래서 나만의 사진 스팟으로도 유명해지기도 했다. 그렇지만 그만큼 소중하게 지키고 있는지 생각이 많아지게 한다. 심지어는 이곳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사람들도 본 적이 있다.

2. 한못서못(통한못) (성산읍 수산리 3984번지) (성산읍 수산리 3984번지)
수산 한못에서 서쪽으로 300m 정도에 위치해 있다. 우마급수용으로 조성된 연못이다. 전주물꼬리풀·마름·꽃창포·물까치수염이 확인되었다.(2023년 6월 4일)
마을에서는 한못서못으로 많이 불린다. 수산 한못에 복원한 전주물꼬리풀이 이곳에서 채집되었다.












한못서못은 사람들이 접근이 많지 않은 곳이다.
새들이 서식지로는 적합한 곳이라 생각이 든다. 그래서인지 조사를 하러 가다 보면 새들이 많은 편이다.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쇠오리 심지어는 작년에 장다리물떼새도 본 적이 있다.

그리고 제주도 습지의 전형이 보이는 곳이다. 비가 많이 올 때는 금방 차서 안에 들어가 조사하기가 어려울 때도 있고, 비가 안 올 때는 바짝 말라서 습지의 형태가 변화무쌍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쉽게 생각하면 안된다. 바닥에 깊은 이탄습지의 형태가 있어서 잘못하면 발이 빠져 꼼짝도 못하기도 한다.
걱정은 전주물꼬리풀이 작년과 다르게 덜 보인다는 것이다. 습지 가운데에 연꽃은 더 넓게 분포하면서 주위의 다른 식물들을 밀어내는 듯 하다. 기장대풀이 많아지고 고마리가 많아지고 있다. 습지에 연꽃이 있으면 예쁘다고 좋아한다. 그런데 습지의 생물다양성을 생각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
스스로 많아지다가 적어지고, 다른 종에게 공간을 내어주는 스스로의 능력을 기다려 주어야 하는 것인지? 

전주물꼬리풀, 개구리미나리, 기장대풀, 꽃창포, 고마리, 물까치수염 등 많은 습지 식물과 새들이 살고 있는 한못서못, 꼭 지켜야 할 습지이다.



물까치수염

                                       꽃창포                                  야고(2024년 8월)
  
수산 한못 (2024년 8월)

한못서못 (2024년 8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달을 비추어주는 습지 "월랑지와 월랑지알못. 그리고 버드나무습지 -성산읍 난산

오름 사이에 숨은 드넓은 이탄습지, 숨은물뱅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