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수산리 습지 - 가장 큰 못 수산한못, 전주물꼬리풀의 자생지 한못서못(통한못)

이미지
  수산리 습지 가장 큰 못_ 수산한못 전주물꼬풀의 자생지 _ 한못서못(통한못) 2024. 08. 30 글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오은주 사진 _성산읍습지조사팀 수산마을은 연못이나 습지를 통해서도 전형적인 중산간 마을의 특징을 보여준다. 마을 곳곳에 연못이 있었고, 습지도 많은 곳에 산재해 있었다. 기록되어 있는 연못과 습지는 용천수 포함 28개가 있었다. 지금은 성앞못, 동치못, 누루못, 진빌레못, 진안물, 양백이물, 통개나물, 공쟁이못, 맥다리물 등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수산마을의 설촌 유래 를 살펴보면, 수산리는 首山, 水山 2가지로 쓰였다. 원래 [首山] 이었는데 마을이 커지면서 양촌(良村)으로서의 입지가 굳어지게 되자 [首]는 우두머리, 처음, 먼저, 머리 등의 의미가 있는 반면 꾸벅거리다,  魁首自白(괴수자백) 등의 의미도 갖고 있기 때문에 양반, 선비가 사는 마을 이름으로서는 적당하지 않다고 하여,  仁者樂山 知者樂水의 글자를 따서 [水山]으로 개명하였다(수산리지)고 한다. 17세기부터 수산리와 흘전촌으로 구분되었는데, 수산리[지금의 수산1리]의 옛 이름은 물미로, 믈미, 믈메[지금 대수산봉]라는 오름 북서쪽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생긴 이름이다. 1914년 종전의 성읍리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흘전촌[지금의 수산2리]의 옛 이름은 홀입, 홀앞, 곶앏, 곶앞, 화전(化前)촌으로, '덤불 숲의 앞'이라는 뜻이다. 현재의 실제 발음은 고잡(고잪)이다. 고려시대 수산평 일대에 말과 양 등을 방목하다는 기록에 비추어 본격적으로 사람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은 13세기 말~14세기 초로 추정한다. 수산1리는 600여년 전, 수산2리는 800여년 전에 설촌한 후 마을이 커졌다고 한다.(성산읍역사문화지 290쪽) 수산리지에서는 1,000년 전에 설촌되었다고 기술하였다. 수산리는 태종16년(1416) 정의현이 설치될 때 정의현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고종17년(1880) 정의현 좌면 수산리가 되었다. 1915년 5월 1일 도제(島制)가 시행되면서

중산간 마을 와산리의 물통 - 자연을 담은 습지 새시미물과 당오름 못뱅듸

이미지
중산간 마을 와산리의 물통  자연을 담은 습지 새시미물과 당오름 못뱅듸 2024. 08. 28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유명숙 1. 새시미물 : 제주시 조천읍 와산리 1148 주변에 주차공간이 있고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와산리 마을은 조천읍 소재지로부터 8km 남쪽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중산간 마을이다.  오늘 만나는 자연을 담은 습지 새시미 물통을 알게 된 건 6~7년 되었다. 마을을 지날 때 버스정류장 이름에 '새심이'가 있고 길 이름에 '새시미길'이 새겨져 있는 걸 보면서 시골스런 이름이 참 정겹다 생각 한 적이 있다.  새시미물통과 관련이 있다는 걸 나중에 짐작으로 알게 되었다. 와산리 설촌유래를 살펴보면, 중략) "지명학적으로 보아 누운매(누운산)가 미곤형이나 물골이 되고 화골이 되어 장마철에는 홍수가 나고, 건조기에는 화재가 자주 나서 주민이 의견을 모아 남쪽과 북쪽에 나무를 심어 금산부락을 만들어 액운을 막아 살아 온 것으로 본다. 오늘날 부락의 형성 과정을 보면 누운산 당오름에 샘물(용천)이 있고, 또 새샘이(샘물)이 있어 그 영향으로 토질이 비옥하다고 본다. 누운매가 와산이라 명칭하게 되었다." - 출처: 와산리 설촌유래 안내판 설촌유래에 새샘이라는 단어가 나오는 걸로 보아 현재의 새시미물 역시 물을 근거로 설촌이 되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아름드리 폭낭(팽나무)가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큰물은 소와 말에게 먹이기 위한 용도이고,  윗부분에는 식수로 사용했던 물통(흔적은 없음)이 있었다고 한다.  큰물에서는 어린이들이 수영을 할 만큼 규모가 큰 편이었다고 하는데, 인근에 저류지 조성 공사 당시 물길이 바뀌면서 소멸 될 위기에 처한 적이 있으니 주민들이 의견을 모아, 2019년 5월에 근처 주변의 잡목들을 걷어내고 복원하는 정비 사업을 하여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습지 주변은 높이 1.2m로 돌담을 쌓았다.  장시간 비가 내리지 않았고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 때문인지 습지 위에는 녹

봄에는 꽃비 내리는 핫플 연못 대흘1리 큰물

이미지
  봄에는 꽃비 내리는 핫플 연못 대흘1리 큰물 2024. 08. 21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이주형 작은 연못이 봄만 되면 북적거리는 연못이 하나 있다. 대흘보건소 진료소와 대흘1리 복지회관 옆에 있는 작은 연못이 언젠가부터 벚꽃 명소로 자리 잡았는데 어쩌다보니 나는 처음 방문한다. 원래는 지금 연못 크기보다 컸으나 도로 확장 등으로 크기가 축소된 물통이다.  동쪽 중산간 지역으로 이동할 때 자주 지나던 도로였는데 제대로 본 적 없던 곳을 습지 핑계삼아 다녀왔다.(사진촬영일 : 2024년 8월 18일) 대흘1리 큰물 많은 물이 고인다고 하여 큰물이라 불리었고, 마을 가운데에 있어서 생활용수와 우마용으로 이용되었다. 과거 아이들의 물놀이 장소였으며, 개구리와 잉어, 마름 등 동·식물의 서식지이기도 했다. 도로 확장 등으로 면적이 1/3 정도만이 남아 있다. 도로를 접하여 나무 데크 시설이 되어 있고, 리사무소쪽 도로변에 정자가 세워져 있다. 물통안에는 분수 시설과 조명 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사용하지 않고 있다. 왕벚나무가 꽃을 피우는 4월이면 연못 위에 연분홍 벚꽃이 수를 놓는다. ✅ 주소 : 대흘리 2237-12번지 ✅ 마을에서의 위치 : 리사무소와 접해 있음 ✅ 가로/세로 : 가로 25m, 높이 15m의 삼각형 ✅ 면적 : 약 190.15 ㎥ ✅ 주민 생활과의 관련성 : 생활용수, 우마용 ✅ 입구(소로길) 유무 : 중산간 도로변 ✅ 동·식물 특징 : 산개구리, 제주도룡뇽, 마름, 개구리밥, 가래 ✅ 특징 : 도로공사로 인해 면적이 1/3로 축소 됨 ✅ 이름 유래 : 대흘1리 마을 내 물통 중 가장 큰 물통 *내용 출처 : 람사르 습지 도시 조천읍 습지 조사 자료집 중산간 마을에 위치한 대흘1리, 산세 좋고 숲이 우거진 듯한 곳인데 조금 느낌이 다르다.  연못 주변에는 제법 큰 건물들의 카페, 음식점이 들어서 있었고, 연못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대흘초등학교와 그 주변으로 타운하우스가 조성되어 있어 지금까지 내가 봐왔던 중산간 마을과는 좀 다른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