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비추어주는 습지 "월랑지와 월랑지알못. 그리고 버드나무습지 -성산읍 난산
달을 비추어주는 습지 “ 월랑지와 월랑지알못. 그리고 버드나무습지" - 성산읍 난산 글 _ 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오은주 사진 _ 성산읍습지조사팀 제주도 자연환경의 보전 가치가 뛰어난 이유 중 하나가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는 점이다 . 그중에 특히 주목해야 할 곳이 습지이다 . 제주의 습지는 지역에 분포하는 생물들이 안정적인 조 건에서 서식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 중산간지역에 분포하는 자연 습지 와 거 주 지역 내 마을 습지 , 그리고 해안의 연안 습지까지 더해져 제주 섬의 습지 생태계 축 을 완 성 되 어 있다 . 하지만 1970 년부터 본격적인 제주 개발이 시작되면서 제주의 습지들은 훼손의 위협을 받기 시작했다 . 지하수가 개발되고 물의 이용 방식이 바뀌면서 도민들에게 습지의 이용 가치가 떨어진 점도 이유이기도 하다 . 제주도에서는 그동안 소리소문 없이 사라진 습지들이 많다 . 내륙 습지인 경우 , 하천 습지는 하천 정비라는 명목으로 제주 하천만이 독특한 소 ( 沼 ) 와 기암괴석과 생태계가 파괴되었다 . 전국 초지 면적의 40% 가 넘는 초지를 갖고 있는 제주에는 초원 위 습지도 상당히 많이 있다 . 특히 마을공동목장 안에는 마소들이 먹는 자연 습지들이 많았으나 마을공동목장들이 매각되거 나 개발되면서 사라지고 있다 . 이번은 난산리의 월랑지알못 , 월랑지 . 이름 없는 난산리습지 ( 버드나무와 물까치수염이 있는 습지 ) 를 소개해 보겠다 . 난산리 ( 蘭山里 ) 마을 은 1970 년대 난산리 면의마루 동네에서 마제석기가 출토 ( 마을 홈페이지 ) 된 것으로 보면 신석기 시대에도 이 지역에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 설촌 년대가 1 천년으로 추정되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 . 998 ∼ 1009 년간에 ‘ 새 슬 ’ 이라 불리는 곳에 경주김씨가 설촌 거주했으나 , 조선중기 ( 남제주군 고유지명에서는 고려중기 1277 년이라 함 ) 에 군위오씨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