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제주 사람들의 추억과 함께 흐르는 곳 산지천(산짓물 : 제주 습지)

이미지
  제주 사람들의 추억과 함께 흐르는 산지천(산짓물:제주습지) 2024. 09. 25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박젬마 제주에는 다양한 형태의 습지가 있습니다.  그 중 산지천은 제주시 삼의악과 관음사(한라산 북사면 해발 약 720m) 지점에서 발원하여 아라동, 이도이동, 이도일동, 일도일동과 건입동 산지포구로 바다와 만나는 하천입니다. 하류는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구간으로 기수역(해수와 담수가 혼합되어 있는 곳의 염분이 적은 물), 습지입니다. 습지는, 영구적 혹은 일시적으로 습윤한 상태를 유지하고 그러한 환경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상세한 정의는 나라마다 전문가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습지란,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 인공습지를 말합니다.(습지보전법 제2조 1항) 내륙습지 :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소, 늪 하천 또는 하구 등의 지역. 연안습지 :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바다 쪽으로 수심 6m 까지의 지역. 인공습지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복원된 습지. - 국립생태원 '습지의 정의' 빨래터 산지천은 산짓물, 상류는 가락천이라고도 불리며, 예로부터 여러 고문헌에도 많이 등장하는 중요한 하천 중 하나입니다. 제주의 대부분 하천은 평소 물이 흐르지 않고 비가 내릴 때 일시적으로 물이 흐르는 건천이 많은데, 산지천은 하류에 용천수(솟아나는 물)가 풍부해서 이곳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됐습니다. 지장샘 광대물 '산짓물', '금산물', '노릿물' 등 수량이 풍부한 용천수가 많아서, 제주시에 상수도가 공급되기 이전인 1960년대초까지 제주시민들의 식수로 이용되기도 하고 빨래터로도 유명했습니다. 조천석 과거 산지천은 제주성 안에 사람들에게 생명수를 공급하기도 했지만 반면 근심거리이기도 했습니다.  폭우가 내리면 성안에 산지천엔 물난

송당리 미나리못 (양외못)

이미지
  송당리 미나리못 (양외못)   2024. 09. 19 글/사진_습지블로그 서포터즈 변재환 여름의 끝자락에서 서서히 가을로 접어드는 9 월 유례없는 폭염과 열대야가 새로운 기록을 갈아 치우고 폭염주의보와 경보가  끊임없이  발효되며   무더위가 맹위를 떨치는 요즘 오름의 천국 , 1 만 8 천여 신들의 어머니 금백조 신화가 있는 소원 비는 마을 ' 송당리 ' 에 위치한 미나리못 ( 양외못 ) 을 찾았습니다 . 양외못을 찾아가는 길은 구좌읍 송당리에서 제주 동부 중산간을 잇는 1135 변 도로를 타고 가다 구좌읍 공설묘지 진입 도로인 시멘트 포장 길을 따라가다 보면 높은오름 표지석이 보이고 조금 더 들어가면 공원묘지 ( 높은오름 ) 입구가 나오는데 근처에 주차 후 농로를 따라 내려가면 좌측으로 그린농원 간판이 보이고 농원 안쪽 길을 따라 50m 정도 들어가면 미나리못 습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 그린농원 입구에서 직진하다 밭이 끝나는 지점에서 우측 끝 물이 흐를 수 있게 파놓은 골을 지나면 어른 허리까지 올라오는 풀숲 사이로 미나리못이 나타납니다 .  장화를 신고 습지로 조심조심 들어가 봅니다 . 물은 많이 말라 있었고 노루가 들어가 목을 축인 흔적이 보입니다 . 60×40m 정도의 타원형 습지인 미나리못은 생각 외로 규모가 컸으며 비가 모여서 연못을 이루고 수량이 줄어들 때는 연못물이 초승달 모양으로 남고 봄에 촬영한 모습 주변의 스코리아콘인 높은오름 , 동거문오름 , 문석이오름 사이의 저지대에 형성된 습지로서 이 일대에는 현무암질 용암류가 분포하고 있으며 화산체 사이의 저지대 ( 빌레 ) 에 위치하므로 강수 발생 시 지표수가 유입되어 못을 이룹니다 . 미나리못의 식생 유형은 물봉선 , 큰방동사니 , 바늘골 , 부들 , 사마귀풀 , 골풀 , 파대가리 , 세모고랭이 , 물꼬챙이골 , 송이고랭이 , 좀어리연꽃 , 물달개비 , 큰고랭이 , 가래 , 둥근잎택사 , 올방개 , 기장대풀 , 흰꽃여뀌 , 고마리 , 예덕나무 , 소리쟁이 , 삼나무 , 곰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