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처럼 귀한 용천수
한라산의 지하수가 해안가에서 다시 솟아오르는 것을 제주에서는 '용천수'라고 한다.제주는 화산섬이 지닌 특수한 지질과 지형조건으로 연 강우량의 45%정도가 침투하는 특징이 있다.제주의 토양 모재는 화산쇄설물 송이(scoria)인데 물빠짐이 아주 좋다. 그 때문에 물을 머금지 못하는 제주의 하천 대다수는 비가 내리지 않는 날에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이다. 이렇게 땅속으로 스며든 물은 낮은 곳을 향하여 흐른다. "사람은 높은 곳을 향하여 달려가지만 물은 낮은 곳을 향해 아래로 흘러간다." 사람은 좀 더 높은 곳에 서려하고 물은 더 낮은 곳에 임하려 하는 자세 때문이다.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이 자연스럽듯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려함 또한 인간스럽다. 그렇게 생겨 먹었으니 어찌할 수 없다. 이야기가 삼천포를 빠졌다.^^ 한라산 정상 백록담 담수호(1940m)에서 땅속으로 스며든 물을 따라 가보자. 땅속으로 들어간 물은 지하 대수층을 따라 여행이 시작된다. 단단한 지층을 지날때는 몸을 한껏 조아리다 약한 지층을 만나면 암석 틈새를 비집고 나와 자유를 만끽하며 세상구경에 정신을 잃는다. 그 즐거움도 잠시 햇빛에 일광욕을 즐기던 물들은 깊게 파 놓은 함정에 빠지듯 다시 지하로 빨려 들어간다. 그렇게 솟아올랐다 빨려들어가길 몇 번 반복하다 해안마을에서 다시 솟아오른 지하수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가장 낮은 곳 바다에 이른다. 그렇게 그들의 본래 있던 곳에 도착하며 여행도 마무리 된다. 이 여행 기간이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 정도가 소요 된다. 제주를 해발고도에 따라 세 구역으로 나눈다. 해발고도 200m이하 지역은 ‘해안’ 200m 이상 600m 미만은 ‘중산간’ 600m 이상은 ‘산지’로 부른다. 제주의 용천수 대부분은 해안에 발달되어 있고 이런한 곳을 '용천대'라 한다. 모든 인류가 그러했듯이 제주민 또한 용천대를 중심으로 모여살기 시작했다.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아지며 그에 따라 마을이나 그곳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