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손주처럼 귀한 용천수

이미지
한라산의 지하수가 해안가에서 다시 솟아오르는 것을 제주에서는 '용천수'라고 한다.제주는 화산섬이 지닌 특수한 지질과 지형조건으로 연 강우량의 45%정도가 침투하는 특징이 있다.제주의 토양 모재는 화산쇄설물 송이(scoria)인데 물빠짐이 아주 좋다. 그 때문에 물을 머금지 못하는 제주의 하천 대다수는 비가 내리지 않는 날에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이다. 이렇게 땅속으로 스며든 물은 낮은 곳을 향하여 흐른다. "사람은 높은 곳을 향하여 달려가지만 물은 낮은 곳을 향해 아래로 흘러간다." 사람은 좀 더 높은 곳에 서려하고 물은 더 낮은 곳에 임하려 하는 자세 때문이다.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이 자연스럽듯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려함 또한 인간스럽다. 그렇게 생겨 먹었으니 어찌할 수 없다. 이야기가 삼천포를 빠졌다.^^ 한라산 정상 백록담 담수호(1940m)에서 땅속으로 스며든 물을 따라 가보자. 땅속으로 들어간 물은 지하 대수층을 따라 여행이 시작된다. 단단한 지층을 지날때는 몸을 한껏 조아리다 약한 지층을 만나면 암석 틈새를 비집고 나와 자유를 만끽하며 세상구경에 정신을 잃는다. 그 즐거움도 잠시 햇빛에 일광욕을 즐기던 물들은 깊게 파 놓은 함정에 빠지듯 다시 지하로 빨려 들어간다. 그렇게 솟아올랐다 빨려들어가길 몇 번 반복하다 해안마을에서 다시 솟아오른 지하수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가장 낮은 곳 바다에 이른다. 그렇게 그들의 본래 있던 곳에 도착하며 여행도 마무리 된다. 이 여행 기간이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 정도가 소요 된다. 제주를 해발고도에 따라 세 구역으로 나눈다. 해발고도 200m이하 지역은 ‘해안’ 200m 이상 600m 미만은 ‘중산간’ 600m 이상은 ‘산지’로 부른다. 제주의 용천수 대부분은 해안에 발달되어 있고 이런한 곳을 '용천대'라 한다. 모든 인류가 그러했듯이 제주민 또한 용천대를 중심으로 모여살기 시작했다.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아지며 그에 따라 마을이나 그곳에

북촌리 물통 '검섯개물과 기무라물통'

이미지
글, 사진 / 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유명숙 조용한 해안마을 북촌리 해동마을 해안을 따라 걷다 보면  바다를 양쪽에 두고  쭉뻗은 도로가 시작된다 .  일명 북촌해안 고속도로. 원담이 남아있는 이곳에서는 먹이사냥을 하는 왜가리들이 종종 보인다. 일명 북촌 고속도로 왜가리 그 시작점에서 빨간색 표식이 가리키는 곳으로  동그랗게 돌담처럼 둘러진  물통을 만날 수 있는데 바로 검섯개물 . 이곳의 옛지명이 검서포 , 검섯개였다고 한다 . 전에는 용출량이 많아서 해동주민들이 식수 및 빨래터로 이용했다고 한다 . 해동마을에 공동수도를 가설하기 전에는 이곳까지 와야 물을 구할 수 있었다 . 서우봉에 지금도 그 흔적들이 남아있는 일제동굴 진지 구축 시에  일본군 대장이 먹었다고 하여 장군물로 부르기도 한다 . 물통을 청소하는 삼촌들 말을 빌리면  ‘ 이곳에 예전에는 용이 살아 났주 ,  경허난 물도  막 하영 나오고 물맛도 좋아나신디 ,  이젠 물도 변해 부런 ,  이디 길 만들멍 메와부난 ( 메꿔버려서 ) 물이 잘 안나왐주 ,  세상이 변햄신디 물이랜 안 변할 수가 이서 ~~’ 검섯개물의 물맛도 좋았고 물의 용출량이 아주 많았다고 한다 . 밀물일 때도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두 개의 통 높이를 달리한 형태는  북촌리에 있는 용천수들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 썰물이면 검섯개물만 남겨두고 물이 빠져나가  육지 해안가이 뻘바다처럼 바닥이 훤히 드러나고  염생식물들만 바람에 흔들거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바닷가의 소금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을 염생식물이라 하는데  검섯개 해안습지에는  갯질경 , 퉁퉁마디가 자라고 있다 . 갯질경 - 두해살이풀 , 2 년차에 꽃이 피고 고사한다 . 강한 바람과 날리는 바닷물과 해무 , 뜨거운 햇빛 , 잦은 침수 , 염분의 영향을  늘 받는 곳 이다 보니  바닷가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대부분 바위 틈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간다 . 갯질경 해안길을 따라 동쪽편으로 100 여미터 쯤 우측으로  구불구불 곡선을 따라 해안습지 기무라물통이 눈에 들어온다

제주국립박물관 내(內) 자연생태연못

이미지
2023.11.07 2023.11.07 ​ 글/ 사진 : 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이주형 ​ ​ ​ 제주국립박물관 내(內) 자연생태연못 ​ ⭐사용된 사진 : 2023년 8월 20일, 9월 3일, 9월 17일, 11월 9일 4번 다녀왔던 사진으로 구성⭐ ​ ​ ​ 국립생태원에서의 습지 유형으로 보면 습지는 크게 연안, 내륙, 인공습지로 구분하고 있다.(람사르협약 매뉴얼 제4판. 2006) 인공습지도 연안과 내륙으로 나뉘며 연안 인공습지로는 염전, 양식장이 이에 속하고 내륙 인공습지는 인공호, 농경지, 내수면 어업, 용수로, 조성 습지, 인공 웅덩이가 속하는데 또다시 상세하게 분류된다. 해서 오늘 소개하는 제주국립박물관 내의 자연생태 연못은 인공습지라 할 수 있겠다. ​ 제주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유물을 수집, 보존하는 한편 체계적인 전시와 학술조사 연구를 목적으로 2001년 6월 15일 처음 문을 연 고고역사박물관인 제주국립박물관. ​ ​ 제주 이주 후 처음 방문했던 10년 전보다 지금이 다채로운 전시, 각종 체험 교육 및 문화공간 프로그램 등으로 해가 거듭할수록 많은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 박물관.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심사가 다른 이전에는 박물관 내에 생태연못이 있다는 걸 알고는 있었지만, 방문은 올해가 처음인 듯싶다. 국립제주박물관 이정표를 보면 [자연생태 연못]이라고 안내되어 있고, 숲속 오솔길과 동자석정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숲속 오솔길의 꽃길은 꽃무릇에서 어느새 털머위로! 계절이 바뀌었다. 최근 몇 개월 사이에만 4번 정도 방문한 제주국립박물관 내 생태연못. 그리 크지 않은 연못이었고, 지속적인 적당한? 관리도 이어지고 있었다. 인공과 자연의 반반을 섞어놓은 듯한? 생태연못. 엊그제 다녀왔을 때는 주변 풀을 깎으면서 연못 산책로 주변도 살짝 정리를 해준 것 같다. 정리를 해주지 않으면 돌바닥으로 되어있는 연못 둘레를 걸을 때 미끄러울 수 있었을 것이다. 2023.11.07 ​ ​ ※ 생태(生態) 연못 자연 일반 각종 산업화로 없어진 자연 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