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래리 봉천수 – 포리수 습지기자단 유명숙 봉천수는 하늘에서 떨어진 빗물이 한곳에 모여 물웅덩이나 못을 이룬 형태로 하천 등 음푹 파인 곳에 물을 가두어서 생활용수로 , 음용수로 , 농업용수로 사용하던 곳을 말한다 . 빗물이 근원인 봉천수는 가뭄에 취약하고 수질도 불량 할 수 밖에 없지만 마땅히 수원이 없는 중산간 지역이나 산촌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물이었다 . 1970 년 이전 제주인들의 삶에 있어 물은 특별했다 . 해안가에는 용천수가 비교적 풍부하게 솟아나서 물을 사용함에 있어 중산간지역보다 물 걱정은 덜 하고 살았지만 중산간 지역에서 물이 솟아나는 경우는 드물었기에 빗물을 가두어서 이용하는 방법으로 물을 얻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 제주도에 1960 년 첫 지하수 관정이 시작되었다 . 그 이전에는 봉천수에 의지하여 살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는데 포리수는 교래마을에 유일한 봉천수이며 , 주민들의 삶을 지탱해 준 고마운 물이다 . 물은 마을의 역사를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되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 물은 모두에게 공평하다고 하지만 중산간 지역의 주민들에게는 공평하게 다가오지는 않았다고 한다 . 비가 내리는 날에 포리수를 찾았다 . 포리수는 교래리 사거리에서 남조로길 남쪽으로 방향을 잡고 다리 ( 제 4 교래교 ) 를 지나면서 서쪽으로 ( 우측 ) 1 차선 농로를 따라 승용차로 3~5 분 정도 들어가면 팔각정이 있다 . 주차 할 수 있는 공간도 있고 , 새로 단장한 포리수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 포리수는 상수도가 공급되기 전에 마을 주민들이 생활용수 , 음용수 , 농업용수로 이용하던 곳으로 물의 색이 포 ( 아래오발음 ) 리롱 하다 해서 포리수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교래지역에서 비를 만나는 날이 많은 편인데 역시 굵은 빗줄기가 쉴 새 없이 들이 붓는다 . 내려가는 돌 계단이 미끄러워 보인다 . 여름 내내 자란 잡초와 줄기식물들이 우거져 있어 나뭇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