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 윤남못

이미지
  신엄리 윤남못 생태계서비스 살펴보기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 윤남못   ( 사 ) 제주생태관광협회 대표 고제량     제주도 생태적 가치 제주는 화산섬이다 . 180 만년전부터 2 만 5 천년전까지 수 없는 화산활동으로 섬 하나가 우뚝 쌓였다 . 초기에는 수성화산 활동에 의하여 가늘고 세밀한 화산재가 쌓이기 시작했고 , 중기 이후에는 육상 화산활동으로 현무암에서부터 화산 송이 ( 스코리아 ) 까지 다양한 화산쇄설물로 다채로운 제주 자연환경이 형성되었다 . 한라산 , 오름 , 곶자왈 , 습지 , 용암동굴 , 해변 , 하천 , 뱅듸 등으로 제주 자연생태를 구분하여 그 특성과 가치들을 살펴보면 한반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고 독특하다 .  화산활동으로 이루어진 지질적 특성과 바람과 더불어 정착한 생물들의 모습은 기기묘묘하고 신비롭다 . 그 가치들로 인해 유네스코는 제주도를 생물권보전지역 (2002 년 ), 세계자연유산 (2007 년 ), 세계지질공원 (2010 년 ) 으로 인증했고 , 람사르협약은 람사르습지 5 곳과 람사르습지도시 2 개 지역을 인증했다.   이 정도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제주 자연은 보편 탁월한 가치를 인정받아 마땅하다 .   제주 습지 제주의 습지는 화산활동의 흔적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 람사르협약에 등재된 5 곳의 람사르습지는 오름 분화구에 습지가 형성된다거나 점도가 낮은 파호이호이 용암이 흐른 들판에 용암판 ( 빌레 ) 이 물그릇 역할을 하며 습지를 만들기도 한다 . 그리고 곶자왈에도 파호이호이 용암이 흐른 곳에는 용암판이 기저에 깔리면서 습지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 이런 특별함으로 볼 때 제주도 습지는 형성 원인을 반영하여 오름습지 , 곶자왈습지 , 뱅듸습지라고 제주만의 이름을 지어주면 어떨까 ?. 제주특별자치도가 기록한 습지 목록은 내륙습지 322 개 , 연안습지 21 개이다 . 내륙습지는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시작으로 한라...